NT14. 지속가능 기업활동

14 지속가능 기업활동

기업의 자연에 관한 위험, 영향 및 의존도 평가 및 공개를 촉진하는 조치를 취하고,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한 기술 지원과 자원 재활용 제도를 강화한다.

세부실천목표

  • 14-1생물다양성 관련 정보 공시·공개 장려
    • 기업의 생물다양성 관련 정보공시 지원

    • ㅇ TNFD 권고안을 준용하여 국내 자연자본 공시 표준체계 마련 (TNFD 권고안 : 10개 부문(비금융 9, 금융 1), 34개 산업분류 제시)
      - 산업분류별 TNFD 표준 가이드라인·작성 지침 마련(~‘25) 및 적용· 고도화(‘26~, ESG·TNFD 변화와 기업·금융기관 요구를 반영하여 지속 개선)

      ㅇ 기업·금융기관 등 역량 강화 및 인식 제고를 통해 자연자본 정보 공시기업의 지속적인 확대* 유도
      *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 기업 中 자연자본 정보 공시기업 목표 : (‘27) 30% → (’30) 50%
      - ’자연자본 공시 활성화 협의체‘를 운영(‘24~, IUCN·대한상의 협업)하여 정보공유, 기업컨설팅 및 전문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제공
      - 기업·금융기관의 자연자본 공시보고서 시범 작성* 및 사례 공유 * BNBP 참여 기업, TNFD 가입 등과 MOU로 공시 보고서 작성 시범사업 추진 - 기업의 TNFD 우수사례 발굴·홍보(‘25~)로 투자자·대국민 인식 제고

      ㅇ 기업활동의 자연 의존성·영향 평가 지원을 위한 생태정보 제공
      ※ 생태계 기후대응 통합정보관리시스템 구축(‘23~‘27)과 연계, 단계별 맞춤형 정보 제공
    • 기업의 생물다양성 고려 확대를 위한 지원체계 개선

    • ㅇ EU 녹색분류체계 6대 환경목표 관련 경제활동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한 생물다양성 보호 경제활동 등을 포함한 개정안 도출(~’24)

      ㅇ 환경목표별 전문가 협의체를 운영하여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내 생물다양성 환경목표 세부기준 마련(~’24)

      ㅇ 녹색기업 지정기준 내 생물다양성 증진 분야 가점 부여 추진(~’26)
      * (기존 평가기준) 오염물질 감소, 자원·에너지 절감 등 →
       (가점 부여) 사업장 인근 멸종위기종 서식지 보호, 생태숲 조성 등 생물다양성 분야

      ㅇ 중소·중견기업 대상 ESG 가이드라인 마련(~‘25, TNFD 적용사례)
  • 14-2친환경 공급망 구축 지원 및 재활용 확대
    • 환경표지 인증 품목 확대 및 환경성적표지 기초정보 개발

    • ㅇ 생태환경 영향 최소화,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개선 효과가 높은 환경표지 제품군 발굴 및 인증기준 마련(~’27)
      - 시장성 검토, 소비자·유통사 설문조사,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생활밀착형 품목군 도출(매년 5개 이상)
      ※ (후보품목) 전자칠판, 조리기기, 에어프라이어, 헤어드라이기, 청소서비스, 공유오피스 등
      - 유해물질 사용 감소, 대기・수계・토양 오염물질 배출 감소 등 환경 부하 저감을 위한 인증기준 신규 개발로 기업의 친환경 제품생산 지원

      ㅇ 전 과정 온실가스 배출량과 생태환경 관련 정보 산정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 개발 확대로 친환경 제품 공급망 관리 체계 구축 지원
      - 기업이 제품생산에 따른 환경부하량 산정이 가능하도록 주요 산업 생산재에 대한 기초데이터를 1천여 개 개발(매년 150개, ~‘30)
    • 폐기물 재활용 확대로 기업의 지속가능생산 촉진

    • ㅇ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평가항목*을 확대하고 평가 실효성 강화
      * (평가항목) [현행] ①재질, ②구조, ③용이성 → [추가] 무게기준 등
      - 재활용지원금 체계를 개편(고품질 재활용 시 지원금 확대)하여, 소각형 재활용(열회수․고형연료)을 고품질 물질·화학적 재활용(열분해 등)으로 유도
      - 환경적 이점을 고려하여 생분해성플라스틱 활용 제품군 선정·지원 및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환경표지 인증 기준량* 지속 확대
      * (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함량 기준) (’22년) 40% → (’50년) 100%

      ㅇ 해양폐기물 분리배출 체계 정착 및 스마트 집하장(12개소) 조성으로 안정적인 원료 공급체계 구축 및 고부가 재활용 시장 활성화

지표